운영체제/Linux 16

vsftp 접근이 안될 때 ( 에러 : 500 oops vsf_sysutil_bind maximum number of attempts to find a listening port exceeded)

파일질라, winscp 등 FTP 툴을 이용하여 서버로 FTP 접근 시, 또는 접근 후 파일 리스팅, 다운로드 시에 간헐적으로 FTP 접근이 안될 때가 있다. (vsftpd : very secure ftpd 의 약어로,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 FTP 액티브모드와 패시브 모드의 차이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https://wowy0211.tistory.com/15 이런 경우 서버 내 vsftpd가 패시브 모드로 설정돼있는 지 먼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특별히 설치 경로를 지정하지 않을 때 각종 설정 값이 들어간 conf파일의 경로는 아래와 같다. /etc/vsftpd/vsftpd.conf 기본적인 PASSIVE 모드 설정 시 설정값이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동일한 IP주소에서..

운영체제/Linux 2022.11.14

tar archive에 대해서 (tar 압축, tar압축 해제)

tar, tar.gz, tar.bz2의 의미, 차이 tar 리눅스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압축 파일이 아닌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는 개념이다. 아카이브(Archive)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담고 있는 하나의 파일. 이동, 공유, 저장이 간편해지고, 모든 파일에 아카이브 파일에 들어간 후에 관리 및 추적이 쉬워진다. tar 자체는 압축이 아닌, 파일들을 하나의 아카이브 로 묶은 파일이다. 아카이브로 묶기 전, 개별 파일들의 속성과 심볼릭 링크, 디렉터리 구조 등을 그대로 가져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ar.gz (gzip) tar.gz는 파일이나 폴더들을 아카이브 파일(tar)로 묶은 후, gzip으로 압축한 파일이다. tar.bz2 (bzip2) tar.bz2는 파일이나 폴더들을 아..

운영체제/Linux 2022.11.08

데몬(daemon)에 대해서

리눅스를 다루면서 프로세스, 데몬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했다. 데몬이 무엇인지, 데몬과 프로세스의 차이는 무엇인 지 이번 기회에 정리하며 숙지해보도록 하겠다. 데몬 데몬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며,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리고 있다가 요청이 발생되면 이에 적절히 대응하는 리스너와 같은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보통 운영체제에서 스펠링이 "d"로 끝나는 프로레스들이 대표적이다. inted, httpd, nfsd, sshd, named, lpd 등이 있다. 백그라운드(background) 프로세스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란, 눈에 보이지 않는 형태의 프로그램, 프로세스 등을 의미한다. 보통 '..

운영체제/Linux 2022.10.25

wget 명령어를 이용한 파일 다운로드

wget 웹에서 파일 다운로드를 도와주는 리눅스 커맨드라인 유틸리티이다.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대역폭을 제한하거나, 분할해서 다운로드 하는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wget이 설치돼있다면 아래와 같이 wget 명령어만 입력 시, missing URL이라는 문구가 나올 것이다. wget으로 가져올 URL을 입력해야하나, 입력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다. [root@test]wget wget: missing URL 아무런 옵션 없이, wget명령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해보자. LINUX용 VSCODE를 다운받기 위해 아래 URL을 이용했다. 기본형식 wget 도메인주소(서버주소) https://update.code.visua..

운영체제/Linux 2022.09.19

rsync명령어에 대해서 (옵션 정리)

rsync rsync 명령어는 서버 간 파일 또는 디렉토리 등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다. 유사 명령어인 scp는 모든 파일을 전송하는 반면, rsync는 목적지 서버와 파일을 비교하여 변경 파일만 전송함으로써 더 빠르고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rsync는 기본적으로 873포트를 이용한다. [root@test]# netstat -nlp |grep 873 tcp 0 0 0.0.0.0:873 0.0.0.0:* LISTEN 25739/rsync rsync 명령어 형식 #rsync [options] [source] [destination] short long 설명 -a --archive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묶어놓은 옵션(= -rlptgoD) -r --recursive 하위 디렉토리까지 복사 -l --links..

운영체제/Linux 2022.09.16

xargs 명령에 대해서

xargs 앞 명령어의 출력값을 다음 명령어의 인자(argument)로 넘기는 역할을 한다. |(파이프) 이전의 명령의 결과를 인자로 받아 명령어를 실행하는 구조이다. |(파이프) 뒤에 추가하여 사용한다. 두 개 이상의 명령어를 조합해서 사용할 때 큰 효과를 낸다. 사용 예시) echo "file1 file2 file3 |xargs touch // file1 file2 file3 이라는 문자열을 touch 의 인수로 넘겨주어 // touch file1 file2 file3 명령을 수행한 것과 같은 결과를 준다. (빈 파일 3개 생성) 그런데....다음 명령어의 인자로 넘긴다는 말이 이해가 잘.......🤣 인자(Parameter) 와 인수(Argument)란, 그리고 인자와 인수의 차이가 궁금하다면 아래..

운영체제/Linux 2022.09.07
728x90